맨위로가기

수도권 전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도권 전철은 1974년 서울 지하철 1호선 개통과 함께 시작되어, 현재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의 광역철도 노선들을 포괄한다. 여기에는 서울 지하철 1~9호선, 경의·중앙선, 경춘선, 수인·분당선 등 다양한 노선이 포함되며, 한국철도공사(Korail)와 서울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 등 여러 기관이 운영한다. 수도권 전철은 거리 비례제 또는 구간 운임제를 기반으로 요금이 부과되며, 수도권 대중교통 통합요금제를 통해 버스와의 환승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현재 여러 노선이 공사 중이거나 개통을 앞두고 있으며, 향후에도 지속적인 확장을 통해 수도권 대중교통망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4년 설립된 철도 기업 - 콘레일
    콘레일은 1976년 미국 북동부 파산 철도 회사를 통합하여 설립된 화물 철도 회사이며, 민영화 후 CSX와 노퍽 서던에 분할 매각되어 현재는 공동 자산 운영 형태로 일부 사업이 유지되고 있다.
  • 수도권 전철 - 1기 지하철
    1기 지하철은 1970년대 서울의 인구 증가와 교통난 해소를 위해 계획, 건설된 지하철 1, 2, 3, 4호선으로, 특히 2호선은 순환선 형태로 건설되어 강남 개발에 영향을 주었다.
  • 수도권 전철 - 서울 경전철
    서울 경전철은 서울특별시의 경전철 시스템으로, 1993년 계획 수립 이후 여러 차례의 계획 수정과 노선 확정을 거쳐 우이신설선, 신림선 등이 개통되었으며, 현재 여러 노선이 건설 중이거나 계획되어 있다.
  • 대한민국의 철도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대한민국의 철도 -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서 중랑구까지 이어지는 총 36.4km의 지하철 노선으로, 2000년 개통 이후 2019년 신내역까지 연장되었으며, 현재 39개의 역을 운영하고 다른 노선들과 환승이 가능하다.
수도권 전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수도권 전철
로마자 표기Sudogwon Jeoncheol
한자 표기首都圈電鐵
서비스 지역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부천시, 안양시, 군포시, 의왕시, 수원시, 의정부시, 안산시, 고양시, 과천시, 성남시, 광명시, 시흥시, 화성시, 용인시, 오산시, 평택시, 구리시, 남양주시, 양주시, 동두천시, 양평군, 파주시, 가평군,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김포시, 하남시, 연천군, 충청남도 천안시, 아산시,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종류도시 철도, 광역 철도
노선 수24개
역 수768
총 길이1302.2 km
궤간1,435 mm
개통일1974년 8월 15일
운영 정보
소유자대한민국 정부, 서울특별시청, 인천광역시청, 부천시청, 의정부시청, 용인시청
운영자서울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 인천교통공사, 및 민간 급행철도 운영사
연간 수송량19억 1천만 명 (2017년, 서울 지하철 1-9호선), 11억 6천만 명 (2017년, 한국철도공사)
기타 정보
한국어 이름수도권 전철
영어 이름Seoul Metropolitan Subway System
서울 메트로 2000호대 전동차 2호선 운행 모습
수도권 전철 노선도

2. 역사

1974년 8월 15일 서울 지하철 1호선 개통과 함께 경부선, 경원선, 경인선 등이 수도권 전철과 직결 운행을 시작하면서 수도권 전철의 역사가 시작되었다.[16] 초기 수도권 전철 1호선서울역-청량리역 간 지하 구간 및 광운대역-서울역-인천역/수원역 구간으로 운행되었다. 이후 서울 지하철 노선 확장과 서울 근교 철도 구간의 전동차 운행 확대로 수도권 전철 노선도 함께 증가했다.

2000년대에는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일산선, 과천선, 안산선 등을 '1호선', '3호선', '4호선' 등으로 분리하여 노선 안내 체계를 정립하였다.

2004년에는 운임 제도가 거리 비례제로 변경되고 버스와의 무료 환승이 도입되어 이용 편의성이 향상되었다.

1960년대부터 서울 수도권을 중심으로 인구가 집중되면서 대량의 통근 수송이 가능한 대중교통 시스템이 중요해졌다. 이에 한국은 해외 철도 기술 도입을 검토했고, 요도호 납치 사건의 여파로 일본 기술 제공이 정치적으로 결정되어 1974년 8월 15일 서울 지하철 1호선이 개통되었다.

2. 1. 연혁

3. 운행 노선

수도권 전철은 1974년 8월 15일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청량리역) 개통과 함께 경부선, 경원선, 경인선 등과의 직결 운행을 시작하면서 탄생했다. 이후 서울 지하철 노선 확충과 서울 근교 철도 구간의 전동차 운행을 통해 노선이 확장되었다. 2000년대에는 노선 안내 체계가 정립되어, 기존에 '1호선', '3호선', '4호선' 등으로 분리되었다.

자세한 연혁은 각 노선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

2000년 이전까지는 노선 안내 체계가 명확하지 않았으나, 2000년부터 '수도권 전철'로 체계화되었다. 2000년 5월 1일에는 국철 구간과 서울 지하철 1호선의 명칭이 통합되어 수도권 전철 1호선으로 변경되었다.

2004년에는 운임 산정 방식이 구간 운임제에서 거리 비례제로 변경되었고, 버스와의 환승 할인 제도가 도입되었다. 2009년 2월 1일에는 승차권이 자기식 종이 승차권에서 1회용 IC식 교통카드로 교체되었다.

수도권 전철은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충청남도, 강원특별자치도에 걸쳐 운영되며, 한국철도공사, 서울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 등 여러 기관이 운영한다. 1, 3, 4호선은 한국철도공사서울교통공사 구간으로 나뉘어 상호직통운전을 한다.

2017년 5월 31일, 서울메트로와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가 통합되어 서울교통공사가 출범했다.

수도권 전철 노선( 민간인출입통제구역 내 경의·중앙선 도라산역~임진강역 구간 제외)의 운임은 각 사업자 공통이며, 통합 계산된다 (인천국제공항철도의 청라국제도시역 이서와 신분당선, 용인경전철, 의정부경전철은 추가 운임 적용).

2009년 10월 4일부터는 차내에 자전거 직접 반입이 허용되었으나, 노선에 따라 반입 가능한 요일과 시간이 다르다. 9호선·신분당선·의정부경전철[60]·인천국제공항철도는 반입이 불가능하다[61].

노선명종착역 (상행 / 하행)역 수색상총 연장개통년도최근 연장운영기관소유주
1호선연천 / 광운대 / 영등포인천 / 신창 / 광명 / 서동탄102[23]진한 파랑218.3 km[24][25][26]19742023한국철도공사(Korail) / 서울교통공사대한민국 정부 / 서울특별시
2호선시청 / 성수 / 신도림시청 / 신설동 / 까치산51녹색60.2 km[25]19801996서울교통공사서울특별시
3호선대화오금44[27]주황색57.4 km[24][25][28]19852010한국철도공사(Korail) / 서울교통공사대한민국 정부 / 서울특별시
4호선진접오이도51[29]하늘색85.7 km[24][25][30]19852022한국철도공사(Korail) / 서울교통공사 / 남양주시 도시공사대한민국 정부 / 서울특별시
5호선방화하남검단산 / 마천56보라색63.0 km[25]19952021서울교통공사서울특별시 / 하남시
6호선응암신내39황토색[31]36.4 km[25]20002019서울교통공사서울특별시
7호선장암석남53올리브색[31]60.1 km[25]19962021서울교통공사 / 인천교통공사서울특별시 / 부천시 / 인천광역시
8호선별내모란24분홍색31.1 km[25]19962024서울교통공사 / 구리도시공사 / 남양주도시공사서울특별시 / 구리시 / 남양주시
9호선개화중앙보훈병원38황금색40.6 km20092018서울시메트로9호선 / 서울교통공사서울특별시
인천국제공항철도서울역인천공항2터미널14바다색[31]63.8 km20072018공항철도대한민국 정부
경의·중앙선도라산 / 임진강 / 문산지평 / 서울역57비취색[31]137.8 km[33]20052021한국철도공사(Korail)대한민국 정부
경춘선상봉 / 청량리 / 광운대[34]춘천24청록색[31]81.3 km[24]20102016한국철도공사(Korail)대한민국 정부
수인·분당선청량리 / 왕십리[35]인천63주황-노랑104.6 km[36]19942020한국철도공사(Korail)대한민국 정부
우이신설선북한산우이신설동15연한 황금색11.4 km[37]2017우이신설경전철 / 우이신설경전철운영서울특별시
신림선샛강관악산11서울 하늘색[31]7.8 km2022남서울경전철 / 로템SRS서울특별시
신분당선신사광교16빨간색[31]33.4 km[38]20112022신분당선 / 경기철도 / 새서울철도 / 네오트랜스대한민국 정부
인천 1호선계양송도달빛축제공원30연한 파랑[31]30.3 km19992020인천교통공사인천광역시
인천 2호선검단오류운연27연한 주황[31]29.1 km2016인천교통공사인천광역시
용인 경전철(용인 에버라인)기흥전대·에버랜드15녹색[31]18.1 km[39]2013용인경량전철 / 네오트랜스용인시
의정부 경전철발곡차량기지 임시승강장16귤색[31]11.3 km[40]20122021의정부경량전철의정부시
경강선판교여주11한국철도공사 파랑[31]54.8 km2016한국철도공사(Korail)대한민국 정부
서해선일산원시21연두색[31]47 km20182023한국철도공사(Korail) / 서해철도 / 서부광역철도대한민국 정부
김포 도시철도
(김포 골드라인)
김포공항양촌10황금색[31]23.7 km2019김포골드라인운영김포시
GTX-A
(수도권광역급행철도에이선)
수서동탄4보라색83.1 km2024SG레일/SR/서울교통공사대한민국 정부


3. 1. 1~9호선 (서울 지하철)

1974년 8월 15일 : 서울 지하철 1호선 지하 청량리역~시청앞역까지 개통과 동시에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등을 이어서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 서울 지하철 1호선 구간을 빼고 나머지 구간은 국철로 안내됨.[5]

1978년 12월 9일 : 경원선 용산역 - 청량리역 구간이 추가로 수도권 전철에 편입됨. 회기역 직전에 합류하여 용산역 - 성북역 구간을 운행하였으며,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지선으로 취급됨.

1979년 2월 1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선 율전역 개통.

1980년 1월 5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원선 신이문역 개통.

1980년 4월 1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원선 서빙고역, 한남역, 회기역 개통.

1980년 7월 10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원선 성수역을 응봉역으로 개칭.

1980년 10월 31일 :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설동역 ~ 종합운동장역 구간 개통.

1982년 12월 23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선 영등포역 ~ 수원역복복선 개통.

1982년 12월 30일 : 서울 지하철 2호선 종합운동장역 ~ 교대역 구간 개통.

1983년 6월 30일 : 서울 지하철 1호선 시청앞역을 시청역으로 개칭.

1983년 8월 2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선 석수역 개통.

1983년 9월 16일 :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역 ~ 을지로입구역 구간 개통, 신설동역 ~ 성수역 구간이 별개의 지선으로 분리.

1983년 12월 17일 : 서울 지하철 2호선 교대역 ~ 서울대입구역 구간 개통.

1984년 1월 1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율전역을 성대앞역으로 개칭.

1984년 5월 22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선 신도림역 개통 및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대입구역 ~ 을지로입구역 구간 개통으로 을지로 순환선 완성.

1984년 11월 20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인선 백운역 개통.

1985년 1월 14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원선 석계역 개통.

1985년 1월 24일 :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앞역을 서울역으로 개칭.

1985년 4월 20일 : 서울 지하철 4호선 상계역 ~ 한성대입구역 구간 개통.

1985년 7월 12일 : 서울 지하철 3호선 구파발역 ~ 독립문역 구간 개통.

1985년 8월 22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성북역 ~ 창동역 구간 개통.

1985년 10월 18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원선 옥수역, 서울 지하철 3호선 독립문역 ~ 양재역 구간, 서울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역 ~ 사당역 구간 개통.

1986년 9월 2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원선 창동역 ~ 의정부역 구간 개통.

1987년 10월 5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원선 의정부역 ~ 의정부북부역 구간 개통.

1987년 12월 31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인선 중동역 개통.

1988년 10월 16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인선 온수역 개통.

1990년 7월 13일 : 서울 지하철 3호선 지축역 개통.

1991년 11월 23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선 영등포역 ~ 구로역 간 3복선 개통.

1992년 5월 22일 :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정지선 신도림역 ~ 양천구청역 구간 개통.

1993년 4월 21일 : 서울 지하철 4호선 상계역 ~ 당고개역 구간 개통.

1993년 10월 30일 : 서울 지하철 3호선 양재역 ~ 수서역 구간 개통.

1994년 4월 1일 : 과천선 수도권 전철 4호선 인덕원역 ~ 사당역 구간 연장 개통. 서울 지하철 4호선남태령역에서 상호 직결 운행을 시작하면서 수도권 전철 4호선 형성. 남태령역 ~ 선바위역 사이에 꽈배기굴 생김.

1994년 12월 1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성대앞역을 성균관대역으로 개칭.

1995년 11월 15일 : 서울 지하철 5호선 왕십리역~ 상일동역 구간 개통.

1996년 1월 30일 : 일산선 수도권 전철 3호선 지축역 ~ 대화역 구간 개통. 서울 지하철 3호선지축역에서 상호 직결 운행을 시작하면서 수도권 전철 3호선 형성.

1996년 2월 29일 :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정지선 양천구청역 ~ 신정네거리역 구간 개통.

1996년 3월 20일 :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정지선 신정네거리역 ~ 까치산역 구간, 서울 지하철 5호선 방화역 ~ 까치산역 구간 개통.

1996년 3월 30일 : 서울 지하철 5호선 강동역 ~ 마천역 구간 개통.

1996년 8월 12일 : 서울 지하철 5호선 까치산역 ~ 여의도역 구간 개통.

1996년 10월 11일 : 서울 지하철 7호선 장암역 ~ 건대입구역 구간 개통.

1996년 11월 23일 : 수도권 전철 8호선 서울 지하철 8호선 잠실역 ~ 모란역 구간 개통.

1996년 12월 30일 : 서울 지하철 5호선 여의도역 ~ 왕십리역 구간 개통.

1997년 4월 30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선 신길역서울 지하철 5호선 신길역 환승통로 개통 및 임시개통

1998년 1월 7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선 독산역 개통. 신길역 완공 및 개업

1999년 7월 2일 : 수도권 전철 8호선 서울 지하철 8호선 잠실역 ~ 암사역 구간 개통.

2000년 2월 29일 : 서울 지하철 7호선 온수역 ~ 신풍역 구간 개통.

2000년 5월 1일 : 수도권 전철 및 서울 지하철의 명칭 통합 정책에 의해 기존 국철 구간과 서울 지하철 1호선의 안내 명칭이 통합되어 수도권 전철 1호선으로 개칭.

2000년 8월 1일 : 서울 지하철 7호선 건대입구역 ~ 신풍역 구간 개통.

2000년 8월 7일 : 서울 지하철 6호선 봉화산역 ~ 상월곡역 구간 개통.

2000년 12월 15일 : 서울 지하철 6호선 상월곡역 ~ 응암역 구간 개통.

2001년 3월 9일 : 서울 지하철 6호선 이태원역 ~ 약수역 개통.

2005년 12월 21일 : 서울 지하철 1호선 동묘앞역 개통

2009년 7월 24일 :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화역 ~ 신논현역 구간 개통.

2010년 2월 18일 : 서울 지하철 3호선 수서역 ~ 오금역 구간 개통.

2014년 12월 27일 : 수도권 전철 3호선 일산선 원흥역 개통

2015년 3월 28일 : 서울 지하철 9호선 신논현역 ~ 종합운동장역 구간 개통.

2018년 12월 1일 : 서울 지하철 9호선 종합운동장역 ~ 중앙보훈병원역 개통

2021년 5월 22일 : 서울 지하철 7호선 부평구청역 ~ 석남역 구간 개통.

2022년 3월 19일 : 수도권 전철 4호선 진접선 당고개역 ~ 진접역 구간 개통.

2024년 2월 29일 : 서울 지하철 7호선 뚝섬유원지역을 자양역으로 개칭.

서울 지하철은 모든 역과 열차에서 무료 Wi-Fi를 제공한다.[9] 모든 역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10]

시스템 내 모든 방향 표지판은 한국어 한글과 영어, 일본어와 중국어 간체자를 위한 가타카나/한자로 표기되어 있다. 그러나 벽에 있는 지도는 한국어와 영어로만 표기되어 있다. 열차 내부에는 서비스 안내, 다음 정차역 이름, YTN 뉴스, 주식 가격, 애니메이션 단편 등을 보여주는 LCD 화면이 많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다음 역, 환승 가능 노선, 하차 방향을 한국어로 알려주는 사전 녹음된 음성 안내가 있으며, 이어서 영어로 안내가 나온다. 주요 역에서는 일본어, 중국어 간체자 순으로 안내가 나온다.[11]

서울 지하철은 모든 역에 풀 컬러 LCD 화면을 사용하여 실시간 지하철 도착 시간을 표시하며,[13] 스마트폰 앱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12]

번호가 매겨진 노선과 경전철 노선의 열차는 일반적으로 우측 선로를 운행하는 반면, 명칭이 있는 중전철 노선은 좌측 선로를 운행한다. 예외적으로 1호선4호선( 남태령역 이남)의 열차는 좌측 선로를 운행한다. [15]

서울 지하철 1~9호선 및 경전철 노선 현황
노선색운행 계통노선명기점역종점역거리역수관리자 또는 소유자운영자
style="background-color: ; color: white;" |1호선서울 지하철 1호선서울역청량리--서울특별시서울교통공사
style="background-color: ; color: white;" |서울 지하철 2호선본선시청시청--서울특별시서울교통공사
style="background-color: ; color: white;" |3호선서울 지하철 3호선지축오금57.4km44서울특별시서울교통공사
style="background-color: ; color: white;" |4호선서울 지하철 4호선불암산남태령--서울특별시남양주도시공사
서울교통공사
style="background-color: ; color: white;" |5호선서울 지하철 5호선 본선방화상일동59.7km56서울특별시서울교통공사
서울 지하철 5호선 지선강동마천
하남선상일동하남검단산하남시
style="background-color: ; color: white;" |서울 지하철 6호선응암신내36.4km39서울특별시서울교통공사
style="background-color: ; color: white;" |서울 지하철 7호선장암석남61.0km53서울특별시
부천시
인천광역시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 color: white;" |8호선서울 지하철 8호선암사모란30.2km24서울특별시
별내선별내암사12.9km7서울특별시[68]
구리시[69]
남양주시[70]
서울교통공사
구리도시공사
style="background-color: ; color: white;" |서울 지하철 9호선개화중앙보훈병원40.9km38서울특별시서울시메트로9호선
서울교통공사
style="background-color: ; color: white;"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북한산우이신설동11.4km13서울특별시우이신설경전철
우이신설경전철운영
style="background-color: ; color: white;" |서울 경전철 신림선샛강관악산7.5km11남서울경전철
로템SRS


3. 2. 광역철도 노선

서울교통공사서울 지하철 4호선불암산남태령서울교통공사rowspan="3" style="background-color: #9467bd; color: white;" |5호선서울 지하철 5호선 본선방화상일동59.7km56서울특별시서울 지하철 5호선 지선강동마천하남선상일동하남검단산하남시style="background-color: #c55c1d; color: white;" |서울 지하철 6호선응암신내36.4km39서울특별시style="background-color: #54640d; color: white;" |서울 지하철 7호선장암석남61km53서울특별시
부천시
인천광역시서울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67]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f51361; color: white;" |8호선서울 지하철 8호선암사모란30.2km24서울특별시서울교통공사별내선별내암사12.9km7서울특별시[68]
구리시[69]
남양주시[70]서울교통공사
구리도시공사
남양주도시공사style="background-color: #aa9872; color: white;" |서울 지하철 9호선개화중앙보훈병원40.9km38서울특별시서울시메트로9호선
서울교통공사style="background-color: #b0c4de; color: black;"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북한산우이신설동11.4km13서울특별시우이신설경전철
우이신설경전철운영style="background-color: #6789ca; color: white;" |서울 경전철 신림선샛강관악산7.5km11남서울경전철
로템SRSstyle="background-color: #0054a6; color: white;" |인천국제공항철도서울인천공항2터미널63.8km14대한민국 정부공항철도rowspan="4" style="background-color: #72c7a6; color: white;" |경의·중앙선경의선서울역문산, 임진강144km58한국철도공사용산선용산가좌경원선용산회기중앙선청량리용문, 지평rowspan="4" style="background-color: #0c8e72; color: white;" |수도권 전철 경춘선중앙선청량리, 상봉망우85.6km24경원선청량리회기망우선망우상봉, 광운대경춘선망우춘천style="background-color: #0054a6; color: white;" |수도권 전철 경강선경강선판교여주57km11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ffb300; color: white;" |수인·분당선분당선청량리, 왕십리수원107.2km64수인선수원인천style="background-color: #ed8b00; color: white;" |신분당선신사광교33.5km16신분당선
경기철도
새서울철도
네오트랜스style="background-color: #81a914; color: white;" |수도권 전철 서해선서해선일산원시47km21한국철도공사
서해철도주식회사
서부광역철도style="background-color: #75bbfd; color: black;" |인천 도시철도 1호선계양송도달빛축제공원30.3km30인천광역시인천교통공사style="background-color: #f06a00; color: white;" |인천 도시철도 2호선검단오류운연29.2km27style="background-color: #99cc00; color: black;" |의정부 경전철발곡차량기지 임시승강장11.3km16의정부시의정부경량전철style="background-color: #4ea346; color: white;" |용인 경전철(용인 에버라인)기흥전대·에버랜드18.4km15용인시용인경량전철
네오트랜스style="background-color: #ad8605; color: white;" |김포 도시철도
(김포 골드라인)
양촌김포공항23.7km10김포시김포골드라인운영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9A6292; color: white;" |GTX-A
(수도권광역급행철도에이선)
수서동탄32.8km4대한민국 정부SG레일/SR/서울교통공사운정중앙서울33km5SG레일/서울교통공사총합1335km786



각 노선은 운영 주체에 따라 다시 여러 구간으로 나뉜다. 예를 들어 수도권 전철 1호선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는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등과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는 서울 지하철 1호선 구간으로 나뉘며, 이들 구간은 서로 직결 운행을 통해 하나의 노선처럼 운행된다.

수도권 전철 노선들은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충청남도, 강원특별자치도 일부 지역까지 বিস্তৃত하며, 광범위한 지역을 연결한다.

3. 3. 경전철 노선

네오트랜스style="background-color: #AD8605; color:white;"김포 도시철도
(김포 골드라인)
양촌김포공항23.7km10김포시김포골드라인운영


4. 운임 체계

수도권 전철은 통합요금제를 기반으로 운영되며, 이용 거리와 환승 여부에 따라 운임이 결정된다. 정기 이용자를 위한 정기권 제도도 마련되어 있다.

수도권 전철만 이용할 경우, 실제 이동 경로와 관계없이 최단 거리를 기준으로 운임이 산정된다. 그러나 신분당선이나 인천국제공항철도 영종도 구간 등 일부 구간에서는 별도의 요금 체계가 적용된다.

1974년부터 1985년까지는 거리 기반 요금 체계와 함께 에드먼드슨 승차권이 사용되었으나, 1985년 구간 기반 요금 체계로 변경되면서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종이 승차권이 도입되었다. 1996년에는 세계 최초로 U-pass라는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가 도입되었고, 2014년 이후에는 티머니 카드로 대체되었다.

현재는 1회용 티켓, 티머니, 캐시비 등 다양한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카카오페이, 삼성페이/삼성월렛)이나 비접촉식 신용/체크카드도 이용 가능하다. NFC 기능이 있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은 티머니 앱을 통해 충전하거나 결제할 수 있다.

1회용 티켓은 RFID 기술이 내장된 플라스틱 카드 형태로, 모든 역의 자동판매기에서 구매할 수 있으며, 500원의 보증금은 티켓 반환 시 환불된다. 다회용 카드는 편의점 등에서 판매되며, 많은 신용/체크카드에 교통카드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소래포구역


티머니(T-money) 교통카드


2001년 7월 4호선 회색 마그네틱 카드 + U-pass 회전문


버스 등 다른 대중교통과의 환승 시에는 30분 이내(21시부터 익일 7시까지는 60분 이내)에 환승해야 하며, 기본 요금은 가장 높은 요금의 교통수단을 기준으로 적용된다. 기본 요금 거리를 초과하면 5km마다 100원이 추가된다. 새벽 시간(첫차부터 6시 30분까지)에는 일반 요금에서 20% 할인 혜택(티머니 사용 시)을 받을 수 있다.

개찰구 외 환승역(예: 서울역에서 경의선 ↔ 1호선·4호선·공항철도) 이용 시, 티머니는 환승 할인이 적용되지만 1회용 교통카드는 적용되지 않는다.

4. 1. 기본 운임

수도권 전철은 기본적으로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따르며, 거리에 따라 요금이 달라진다. 또한, 다른 대중교통으로 환승할 때 요금이 할인되며, 정기 이용객을 위한 정기권 제도도 운영하고 있다.[71]

일반적으로 수도권 전철만 이용하는 경우, 실제 이용한 경로와 상관없이 최단 거리를 기준으로 요금을 계산한다. 기본 운임은 1,400원이며,[71]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구간 내에서는 10km까지는 기본운임, 10km 초과 50km 이내에서는 5km마다 100원, 50km 초과 시에는 8km마다 100원이 추가된다.[71]

하지만 다음과 같은 예외 구간도 있다.

신분당선은 구간에 따라 추가 요금이 발생한다. 신사역-강남역 구간은 500원, 강남역-정자역 구간 또는 정자역-광교역 구간은 각각 1,000원, 두 구간 모두 이용 시 1,400원의 추가 요금이 발생한다. 3개 구간을 모두 이용하면 최대 1,900원의 추가 요금이 부과될 수 있다.[42]

1회용 교통카드는 RFID 기술이 적용된 플라스틱 카드 형태로, 모든 지하철역 자동판매기에서 구매할 수 있다. 1회용 교통카드 요금에는 500원의 보증금이 포함되어 있으며, 보증금은 역에서 카드를 반납하면 돌려받을 수 있다. 다회용 교통카드는 편의점 등에서 구매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신용/체크카드에도 교통카드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43]

현재 (1회용 교통카드를 제외한) 기본 운임은 10km까지 1,400원이며, 10km를 초과하면 5km마다 100원이 추가된다. 50k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8km마다 100원이 추가된다. 1회용 교통카드 이용자는 500원의 보증금 외에 추가로 100원을 더 지불해야 한다.[43]

어린이는 요금이 반값이며, 노인과 장애인은 무료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43] 국제 여행객은 일정 기간 동안 하루 최대 20회까지 사용 가능한 메트로폴리탄 패스(MPASS)를 이용할 수 있다.[44][45]

4. 2. 예외 구간

수도권 전철은 기본적으로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따르지만, 예외적으로 요금이 산정되는 구간이 있다.

신분당선의 경우, 구간에 따라 요금이 다르다. 신사역-강남역 구간은 항상 500원, 강남역-정자역 구간 또는 정자역-광교역 구간은 단독 이용 시 1,000원, 함께 이용 시 1,400원이 부과된다. 3개 구간을 모두 이용할 경우 최대 1,900원의 추가 요금이 부과될 수 있다.[42]

4. 3. 정기권 제도

수도권 통합요금제에 따라 수도권 전철은 이동 거리에 따른 운임 산정, 타 대중 교통 기관과의 환승 운임 할인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정기 이용객을 위한 정기권 제도도 운영하고 있다.

수도권 전철만 이용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하차 직전까지 이용한 실제 경로와 상관없이 노선 체계상 최단 운임 거리를 기준으로 요금을 산정한다. 기본 운임은 1400KRW이며[71], 임률은 기본적으로 4km당 100원이나,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의 지원으로 해당 광역자치단체 구간 내에서는 10km에서 50km 범위 이내에서 5km당 100원, 50km를 넘는 구간은 매 8km당 100원을 부과한다.

다만 이 규칙에 어긋나게 요금을 산정하는 구간은 다음과 같다.

서울 지하철은 통합 요금제를 운영하여 서울, 인천, 경기도의 지하철과 버스는 요금 체계에서 하나의 시스템으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지하철 이용객은 다른 노선으로 무료 환승할 수 있다(신분당선, 에버라인, U라인 제외, 후자 두 노선은 각각 200원과 300원의 추가 요금이 부과됨). 서울, 인천, 경기도 또는 일부 충청남도 시내버스로도 무료 환승이 가능하며, 요금이 더 비싼 광역버스는 할인된 요금으로 이용할 수 있다.[41]

신분당선의 경우, 구간에 따라 요금이 다르다. 신사역-강남역 구간은 항상 500원이며, 강남역-정자역 구간 또는 정자역-광교역 구간은 단독 이용 시 1000KRW, 함께 이용 시 1400KRW이 부과된다. 총 3개 구간을 모두 이용할 경우 최대 1900KRW의 추가 요금이 부과될 수 있다.[42]

1974년부터 1985년까지 지하철 요금 체계는 거리 기반이었으며, 일제 강점기 한국 철도에 처음 도입된 에드먼드슨 승차권(Edmondson railway ticket)이 요금 확인에 사용되었다. 1985년 요금 체계가 구간 기반으로 변경되면서 에드먼드슨 방식을 대체하여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종이 승차권이 도입되었다.

1996년 서울 지하철은 U-pass라는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를 요금 확인에 도입한 세계 최초의 지하철 시스템이 되었다. 이 카드는 2014년 10월까지 발급되었으며, 새로운 (T-money) 카드로 대체되었다.

현재 요금 체계는 거리 기반이며, 1회용 티켓, (T-money) 및 캐시비 등의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교통카드는 버스, 택시, 편의점 및 기타 여러 소매점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용객은 입구 게이트에서 스마트폰(카카오페이와 삼성페이/삼성월렛만 가능), 비접촉식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 또는 다른 선불식 지하철 카드를 사용하여 태깅해야 한다. NFC 기능이 있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티머니 앱을 통해 사용자의 신용/체크카드로 충전 또는 청구) 또는 은행이나 카드사에서 발급한 RFID 기술이 내장된 신용 또는 체크카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결제 방식이다.

현재 1회용 티켓은 RFID 기술이 내장된 신용카드 크기의 플라스틱 카드이며, 모든 지하철역의 자동판매기에서 구입할 수 있다. 가격에 500원의 보증금이 포함되어 있으며, 어느 역에서든 티켓을 반환하면 환불받을 수 있다. 다회용 카드는 편의점에서 판매되며, 많은 신용/체크카드에 이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1회용 티켓을 제외하면 현재 요금은 10km까지의 여정에 대해 1400KRW이며, 그 이후 5km마다 100원이 추가된다. 50km를 초과하면 8km마다 100원이 추가된다.[43] 1회용 티켓 이용자는 RFID 보증금 500원과 요금에 대한 100원의 추가 요금을 지불해야 한다.

어린이 요금은 반값이다. 시 정부는 티머니 서울시티패스(T-Money#Seoul Citypass)를 교통카드로 사용한다. 노인과 장애인은 무료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으며, 유효한 신분증을 제시하거나 등록된 교통카드로 입장하여 요금을 공제하지 않고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국제 여행객은 메트로폴리탄 패스(MPASS)를 이용할 수 있으며, 1일에서 7일까지의 선불 기간 동안 하루 최대 20회 이용이 가능하다. 카드 구매 장소에 따라 서비스는 서울 수도권 또는 제주도로 제한되며, 택시나 특정 편의점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44][45]

5. 갤러리

3호선 (한국철도공사) 393편성


3호선 (한국철도공사) 396편성


4호선 (한국철도공사)


서울 중구에 있는 서울 지하철 4호선 회현역 승강장


서울 성동구에 있는 서울 지하철 2호선 한양대역을 출발하는 서울메트로 2000호대 전동차 10량 편성 2x13


서울 지하철 9호선 봉은사역 표지판


서울 노원구에 있는 서울 지하철 6호선 화랑대역 승강장


서울 마포구에 있는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촌역 3번 출입구

6. 향후 계획

; 한국철도공사(광역전철)

한국철도공사는 자사의 비전철화 노선을 전철화 복선화하는 계획을 여럿 가지고 있다. (광역철도의 계획 항목 참조)



; 서울교통공사

; 인천교통공사

; 신서울철도

; 경기철도

6. 1. 공사 중 또는 미개통 노선

노선색운행 계통노선명기점역종점역거리역수관리자 또는 소유자운영자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9A6292; color: white;" |GTX-A수서동탄32.8km4대한민국 정부SG레일/SR/서울교통공사
운정중앙서울33.0km5SG레일/서울교통공사
style="background-color: ; color: white;" |수인·분당선수인선수원인천미개통미개통대한민국 정부한국철도공사
style="background-color: ; color: white;" |신분당선신사광교
style="background-color: ; color: white;" |수도권 전철 서해선서해선일산원시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 color: white;" |8호선서울 지하철 8호선암사모란
별내선별내암사
rowspan="4" style="background-color: ; color: white;" |4호선과천선남태령금정
안산선금정오이도
진접선불암산진접
서울 지하철 4호선불암산남태령
style="background-color: ; color: white;" |서울 경전철 신림선샛강관악산
style="background-color: ; color: white;"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북한산우이신설동
style="background-color: ; color: white;" |수도권 전철 경강선경강선판교여주
style="background-color: ; color: white;" |서울 지하철 7호선장암석남서울특별시
부천시
인천광역시
서울교통공사[67]
style="background-color: ; color: white;" |인천 도시철도 1호선계양송도달빛축제공원인천광역시인천교통공사


다음 노선들은 아직 착공하지 않았지만, 계획과 자금 조달이 완료된 후 승인된 것으로 간주된다. 이들 노선 대부분은 향후 2년 이내에 착공될 예정이다.

6. 2. 기타

서울특별시가 발표한 10년 계획의 지하철 확장 계획은 다음과 같다.[51][52]

인천광역시는 2016년에 발표된 인천 도시철도망 구축 계획을 계승하는 제2차 인천 도시철도망 구축 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며, 5개의 새로운 트램 노선 건설이 포함된다. 이 계획안은 2020년 10월에 발표될 예정이다.[58]

참조

[1] 웹사이트 자료실 : 알림마당>자료실>자료실 http://www.seoulmetr[...]
[2] 웹사이트 수송현황 - 통계 - 량 https://web.archive.[...]
[3] 웹사이트 2012 Korail Statistics https://web.archive.[...] 2012-04-00
[4] 웹사이트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of South Korea: Definition of Urban Rail and Wide-area Rail https://web.archive.[...]
[5] 웹사이트 서울 지하철 1호선 http://futureheritag[...] 서울특별시청 2015-08-25
[6] 웹사이트 [Metro] Construction of the Seoul Metro – the Driver behind Sustainable Urban Growth & Change https://www.seoulsol[...] 2015-07-31
[7] 뉴스 Seoul's first subway line opened in 1974 https://www.koreatim[...] 2011-02-13
[8] 웹사이트 Introducing Korail http://www.korail.co[...] Korail
[9] 뉴스 Underground world: Seoul's 'super highway' v London's 'rude tube' https://www.bbc.co.u[...] 2013-04-03
[10] 웹사이트 대중교통 커뮤니티 - SBM (철도, 버스 이용자들의 공간) : 네이버 카페 http://cafe.naver.co[...]
[11] 웹사이트 Seoul Metropolitan Subway https://www.railway-[...]
[12] 웹사이트 Subway Korea - Android Apps on Google Play https://play.google.[...]
[13] 뉴스 낙후한 지하철 1~4호선, 첨단 디스플레이 기술로 새단장 나선다 http://www.etnews.co[...] 2015-03-15
[14] 일반
[15] 뉴스 <오후여담>좌측통행 http://news.naver.co[...] Naver Corp. 2006-05-16
[16] 웹사이트 Incheon-Gimpo Airports Train to Open Friday https://web.archive.[...] The Chosun Ilbo 2007-03-21
[17] 웹사이트 내년 지하철 9호선 마곡나루역 급행역사로 전환 http://www.edaily.co[...] 2017-03-22
[18] 웹사이트 Seoul Gimpo Gold Line automated light metro opens https://www.railjour[...] 2019-09-30
[19] 웹사이트 '추억의 꼬마열차' 수인선 수도권 남서지역 다시 누빈다 http://www.seoulilbo[...] 2020-09-13
[20] 웹사이트 Seoul's Sillim Line rubber-tyred metro opens https://www.railjour[...] 2022-06-07
[21] 웹사이트 https://english.visi[...]
[22] 웹사이트 https://koreajoongan[...]
[23] 일반
[24] 웹사이트 Metro Lines & Trains in Operation http://info.korail.c[...] Korail
[25] 웹사이트 지하철건설현황 http://infra.seoul.g[...] 서울특별시청
[26] 일반
[27] 일반
[28] 일반
[29] 일반
[30] 일반
[31] 웹사이트 자료실 : 알림마당>자료실>자료실 http://www.seoulmetr[...]
[32] 일반
[33] 웹사이트 Southern portion of inter-Korean railway to reopen http://www.hani.co.k[...] The Hankyoreh 2014-12-25
[34] 일반
[35] 일반
[36] 웹사이트 Final Bundang Line Extension Opens http://kojects.com/2[...] Kojects 2014-08-26
[37] 웹사이트 우이신설도시철도에 오신결 환영합니다. http://www.ui-line.c[...] 2018-03-27
[38] 웹사이트 무인운전 시스템의 장점 http://www.shinbunda[...] Shinbundang Line & NeoTrans 2014-07-25
[39] 웹사이트 노선안내 https://web.archive.[...] Yongin Rapid Transit Corporation 2014-07-25
[40] 웹사이트 사업개요 https://web.archive.[...] Uijeongbu LRT Corporation 2014-07-25
[41] 웹사이트 수도권 전철과 천안·아산 시내버스 '무료 환승'...알뜰교통카드 나왔다 https://www.joongang[...] 2022-10-10
[42] 웹사이트 신분당선 운임안내 https://www.shinbund[...] 2022-10-09
[43] 웹사이트 User Guide > Fare http://www.seoulmetr[...] 2023-11-15
[44] 웹사이트 Exclusive Tourist Cards http://english.visit[...] 2018-11-26
[45] 웹사이트 Tmoney Only for Foreigners: We would like to introduce Tmoney for Foreign Tourists. https://www.t-money.[...] 2018-11-26
[46] 웹사이트 속도내는 동북선 경전철…2019년 착공 http://www.hani.co.k[...] 2017-07-24
[47] 뉴스 "25분 거리를 10분만에… 지역경제도 살아났으면"… 27일 완전 재개통 앞둔 수인선 시범 운행 http://news.kmib.co.[...] 2018-03-27
[48] 웹사이트 양주까지 7호선 연결 본격 시작…서울 접근성 기대 http://news.kbs.co.k[...]
[49] 웹사이트 위례신사선 민자사업, 추진 확정..2021년께 착공 예상 http://www.newspim.c[...] 2018-10-25
[50] 웹사이트 [서울 도시철도망] 면목선, 동대문·중랑 상습정체 구간 해소 http://www.newspim.c[...] 2019-02-20
[51] 웹사이트 [서울 도시철도망]강북횡단선 등 경전철 6개 노선 신설…서울 교통지도 바뀐다 http://www.etoday.co[...] 2019-02-20
[52] 웹사이트 News View :: The World on Arirang http://www.arirang.c[...]
[53] 웹사이트 2028년까지 목동~청량리 잇는 강북횡단선 등 경전철 6개 노선 신설 http://news.chosun.c[...] 2019-02-20
[54] 웹사이트 우이신설역 연장 추진 확정, 솔밭공원~방학역 연결 http://www.womancs.c[...] 2019-02-21
[55] 웹사이트 [서울 도시철도망] 면목선, 동대문·중랑 상습정체 구간 해소 http://www.newspim.c[...] 2019-02-20
[56] 웹사이트 [서울 도시철도망] 난곡선, 남부순환로 이남 주거 밀집지 연결 http://www.newspim.c[...] 2019-02-20
[57] 웹사이트 [서울 도시철도망] 목동선, 서부서울 철도 사각지대 해소 http://www.newspim.c[...] 2019-02-20
[58] 웹사이트 인천시 철도과, 12월 국토부 '제2차 도시철도망구축계획' 승인 신청 http://www.incheonto[...] 2020-09-16
[59] 뉴스 ソウル地下鉄、自転車乗り入れ車両を導入へ http://japanese.yonh[...] 聨合ニュース 2009-06-28
[60] 웹사이트 牛耳新設都市鉄道旅客運送約款第33条 http://www.ui-line.c[...]
[61] 블로그 KORAIL公式ブログ http://blog.naver.co[...]
[62] 위키
[63] 위키
[64] 위키
[65] 위키
[66] 위키
[67] 위키
[68] 위키
[69] 위키
[70] 위키
[71] 문서
[72]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